본문 바로가기
728x90

Data163

[성동1기 전Z전능 데이터 분석가] Day 11 앞서 디자인 스프린트를 통해 기획과 의사결정이 어떻게 진행되는가에 대해 느꼈다면 오늘부터는 실질적으로 데이터 분석을 다루는 툴에 대한 강의가 시작됐다. 대학교를 다니면서 엑셀을 접하긴 했지만 정말 간단한 기능들만 사용했었기 때문에 새롭게 다가오는 것들이 많은 하루였다. 그래도 엑셀의 어려운 기능을 다루는 것이 아닌 기본적인 기능을 통해 효과적으로 가시화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말씀을 계속 되새기자. 또한 툴은 기본으로, 해석력과 분석력을 높이자. 데이터 리터러시(데이터 문해력) 데이터를 읽고 이해한 것을 바탕으로 분석 결과를 전달하는 능력 데이터를 활용해 문제를 잘 정의하고 해결할 수 있는 능력 데이터는 발생한 현상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는 수치나 기록을 의미한다. 상황분석(어떤 일이 일어났는가?), 원인분.. 2023. 10. 30.
[성동1기 전Z전능 데이터 분석가] Day 10 진행했던 디자인 스프린트의 팀 발표를 진행하고 그 후에 주요한님의 특강이 이루어졌다. 팀 발표가 진행된 후 멘토님께서 피드백을 해주셨는데 꽤나 많은 생각이 들었던 것 같다. 오늘은 멘토님의 피드백과 다른 팀들의 발표에서 기억해둘만하다고 느낀 점들 위주로 정리하려고 한다. 디자인 스프린트를 진행할 때 정한 타겟들 중에서도 메인 타겟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우리가 개선해야 한다고 생각했던 것은 서비스 내에서 간소화나 편리함이었다. 그렇게 프로토타입을 만들고 고객 인터뷰를 준비했다면 실제로 고객들에게서 어떤 반응이 나오는 지가 중요하다. 실제로 고객이 간소하다고 느껴지는지와 같은 부분을 잘 체크했어야 했는데 인터뷰 과정에서 이 부분이 부족했다고 생각한다. 서비스 내에서 어떤 부분에서 고객의 경험이 끝까지 이어.. 2023. 10. 27.
[성동1기 전Z전능 데이터 분석가] Day 9 고객 인터뷰를 진행하고 피드백을 받는 하루 하루 종일 다른 팀들과 서로의 고객으로 테스트와 인터뷰를 진행하고 우리가 개선하고자 했던 부분이 올바르게 진행 됐는지 확인하는 하루였다. 아무래도 취향을 많이 타는 주류 부분의 서비스를 선택했기 때문에 고객들의 서비스에 대한 이해도가 낮은 상태에서 테스트를 진행하여 어려운 점이 많았다고 생각한다. 또한,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부분에서 동일한 패턴으로 보이는 답변들이 나와서 추후 개선의 방향성 또한 잡을 수 있었다. 첫 디자인 스프린트가 어느 정도 마무리 되었는데 처음 시작할 땐 '왜 이렇게 해야하나'라는 생각이 가득했다면 이제는 이 과정을 통해서 어떻게 기획이 이루어지고 어떤 방향으로 개선점을 고쳐나갈 수 있는지에 대한 확신이 생기는 것 같다. 고객 인터뷰(프로.. 2023. 10. 26.
[성동1기 전Z전능 데이터 분석가] Day 8 프로토타입 구현 및 고객 인터뷰 준비 Day 스토리 보드를 작성하고 구체화했던 솔루션을 실제 프로토타입으로 만들고 다음에 진행될 고객 인터뷰를 준비하는 날이다. 아이디어를 실체화하고 고객 인터뷰를 위해 질문과 스크립트를 만들다 보니 하루가 금방 지나갔다. 빠르게 진행하는 것이 디자인 스프린트의 목표이기 때문에 단기간 내에 할 것이 많은 느낌이라 힘들기도 하지만 어떤 방식으로 기획과 피드백이 이루어지는지 점점 체감이 된다. 처음 진행하는 디자인 스프린트이다보니 맞게 진행하고 있는건지, 전문가 인터뷰가 진행되지 않은 상태에서 어떻게 구현해야 하는지에 대해 어려운 부분이 많다. 추후에 조금 더 배운 후 완전한 과정을 진행한다면 더 이해도가 높아지지 않을까 하고 생각한다. 프로토타입은 진짜처럼 보이게 만들 것 .. 2023. 10. 25.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