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동1기 전Z전능 데이터 분석가] Day 14
온라인 환경에서는 고객이 눈에 보이지 않으며 개선을 위해 데이터를 사용해야 한다. →개선하려면 관리 →관리하려면 측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방문자 특성과 방문자 행동 방문자 특성: 유입경로, 위치, 검색어, 기기, 브라우저, 모니터 해상도, 네트워크 등등 방문자 행동: 방문형태(신규, 재방문), 페이지뷰, 체류시간, 도착페이지, 이탈페이지, 전환 등등 구글 어낼리틱스(GA)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용어 도메인(Domain): 인터넷 상 컴퓨터의 주소 랜딩페이지: 광고를 클릭했을 때 연결되는 페이지(주로 메인페이지, 상세페이지 등) 파라미터: 웹사이트 주소 뒤에 붙는 매개변수로 이를 활용해 세부적 랜딩페이지를 타겟팅할 수 있다. UTM코드: 주로 GA에서 활용되며 정의한 규칙에 따라 방문자를 구별해서 확인한다..
2023. 11. 3.
[성동1기 전Z전능 데이터 분석가] Day 12
엑셀의 기본함수들을 활용하는 걸 배웠다면 오늘은 간단한 가설을 수립하고 피벗 테이블을 이용해서 데이터 분석 실습을 진행했다. 실질적으로 어떻게 데이터 분석을 진행해야 하는가에 대한 감을 잡아가고 있다. 아직 스프레드시트와 피벗테이블이 익숙하지 않아 버벅이기도 하지만 어떤 데이터로 어떤 가설을 수립해야하는가는 이해가 되고 있다. 분석은 곧 비교다. 그렇다면 비교는 어떻게 해야할까? 기본적으로 육하원칙(5W1H)을 바탕으로 한다.(WHY는 제외) 누가: 성별, 연령, 거주지 등 개인정보 언제: 구매일, 요일, 시간, 공휴일, 날씨 등 어디서: 온라인, 오프라인, 커머스 등 무엇을: 제품, 서비스 유형, 상품 등 어떻게: 카드, 현금 등등 →이를 바탕으로 순위, 순서, 크기, 변동, 추세, 분포, 항목별 구분..
2023. 1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