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ata/[SeSAC 성동1기 전Z전능 데이터 분석가]

[성동1기 전Z전능 데이터 분석가] Day 5

by MIN_JOON 2023. 10. 20.
  • 전날 팀 빌딩을 마치고 실질적으로 디자인 스프린트를 시작하는 첫날이었다. 팀원들이 각자 생각해서 적어온 서비스들을 발표하며 팀 주제를 선정하고 그 서비스의 문제를 정의하는 것을 위주로 하는 하루였다. 디자인 스프린트를 처음 경험해보는 날인 만큼 정해진 시간보다 몇 분 정도 시간을 더 쓰면서 정신없는 하루를 보낸 것 같다.
  • 디자인 스프린트는 무엇보다 빠르게가 우선인 과정이기 때문에 시간을 맞추는 것부터 우선적으로 해야한다. 오늘은 원래의 버릇이 남아서인지 계속해서 의논이 이어졌지만 다음부터는 이런 부분들을 주의하며 진행해야겠다고 생각한다. 처음부터 해결책을 내놓고 의논을 진행하기보다 일단 실행한다는 마음가짐으로 진행하자. 성공해도 실패해도 무조건 이득이다.

<오전(10:00~12:30)>

  • 팀 주제 선정: 데일리샷

 

팀원분들이 선정해오신 주제들을 각자 A4용지에 적어 벽에 붙인 후 투표를 통해 주제를 선정했다. 각자 3분씩 발표하고 필요하다면 2분의 질의응답시간을 가지면서 시간을 적게 쓰는 의사결정 과정이었다. 모든 투표가 끝난 후 의사결정자의 표를 통해 최종결정을 진행했다.

1. 서비스명: 데일리샷

2. 장기목표: 주류문화에 관심있는 고객의 주류 선물 경험을 향상시킨다.

 

 

 

 

  • 장기목표 설정
    • 장기적인 목표설정(낙관적 태도): who와 what이 있어야 한다. 어떤 고객에게 무엇을 제공할 것이며 그렇게 한다면 무엇이 좋은가?
    • 핵심 질문 열거(비관적 태도): 정해진 장기목표를 다시 상기시키고 그것을 달성하는데 중요한 가정과 장애물(의문점, 실패요인)들에 대한 가설을 세우고 질문으로 바꿔본다.
      1. 가정: 장기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꼭 실현되어야 할 것은 무엇인가?
      2. 장애물: 우리 계획이 실패했다고 상상하면 그 실패원인은 무엇일까? 그리고 실현되지 않은 이유는 무엇인가?

<오후(14:00~17:00)>

  • 지도 그리기
    • 장기목표와 핵심질문에 대한 해결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요절차 지도를 그린다.
    • 지도는 스프린트 과정 내내 중요한 역할을 하며 스프린트에서 다룰 구체적인 타깃을 좁히는데 도움을 준다.
      1. 서비스를 사용하는 절차를 그린다.
      2. 서비스를 경험하는 고객들 중심으로 그린다.
      3. 장기목표에 근거하여 어떻게 고객경험이 이루어지는지 그린다.
      4. 주요단계를 단어로 표현하고 포스트잇에 작성 후 화살표로 연결
      5. 15단계 이하로 꼭 필요한 주요단계만 포함하면 된다.
      6. 지도는 계속 업데이트 하고 수정할 수 있다. 일단 시작해라.
  • 전문가 인터뷰(이번 디자인 스프린트에서는 진행X)
    • 전문가의 의견을 통해 정확히 장기목표/핵심질문/그림의 과정을 이해한다.
    • 스프린트의 타깃선택에 도움이 될 만한 정보를 수집하고 솔루션들을 스케치하는데 필요한 재료를 모은다.
    • 전문가 인터뷰 후에 장기목표, 핵심질문, 지도를 수정할 수도 있다.
    • 전문가 인터뷰 절차
      1. 스프린트를 소개한다.
      2. 전문가에게 말 할 기회를 준다.
      3. 질문한다.
      4. 인터뷰 내용을 메모한다.
  • HMW (How Might We?) 질문작성
    • 개별 솔루션 스케치 할 때, 다양한 아이디어를 떠올리는데 도움을 준다.
    • 팀원들 각자가 전문가로부터 들은 문제들을 기회로 바꾸는 활동
    • 문제 목록을 읽는 것보다 HMW 목록을 읽는 것이 효과적이다.
  • 타깃 선택하기
    • 우리 회사의 가장 중요한 고객은 누구인가?
    • 그 고객이 우리 회사와 함께 겪는 경험에서 가장 중요한 순간은 언제인가?

디자인 스프린트 Day 1 최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