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DA교육145 [WIL]본캠프 15주차 일주일 동안 뭐했지?최종프로젝트 기획 확정데이터 수집 및 전처리간단한 데이터 EDAFEELINGS🧐 최종 프로젝트 기획이 3번이나 엎어질 줄 몰랐는데 그게 실제로 일어났다....처음 컨택했던 뉴스레터 쪽 데이터는 소통의 지지부진함도 있었지만 사용했을 때 추후에 보안 관련 이슈가 발생할 수 있다는 조언도 있어서 결국 캐글 데이터로 다시 돌아갔다. 여러모로 아쉬운 부분도 있지만 정해진 분석으로 다시 잘 진행해봐야할 듯!!!FINDINGS🔎 기업에서 분석가가 항상 하락세의 데이터만 보지 않을수도 있다...!!!좋은게 더 좋아질 수 있는지, 혹은 상승률의 둔화와 같은 개선점이 존재할 수 있는지 잘 확인해보고 데이터를 세세하게 뜯어봐야할 것 같다. FUTURE✨ 어느정도 기획은 마무리하고 EDA로 데이터를 살.. 2024. 7. 26. [TIL]본캠프 71일차 최종 프로젝트 기획 시 주의할 점문제점을 단순하게 정의하지 말 것단순히 하락하는 지점뿐만 아니라 상승률의 감소 등 상황이 좋아지고 있는 상태에서도 개선점은 발견 가능재구매율 관련 지표는 생각보다 낮은 지표(가장 마지막에 살펴봐야하는 지표일 수 있음)판다스의 rank함수목록 내에서 개별 순위를 손쉽계 계산 가능DataFrame.rank(self, axis = 0, # 기본값 0(index)으로, index 축을 기준으로 랭크계산 method = 'average', # 동점을 가진 데이터들의 순위를 매기는 방법 numeric_only = None, # True로 설정된 경우 숫자 열만 순위 계산 na_option = 'keep', # NaN 값 순위를.. 2024. 7. 26. [TIL]본캠프 70일차 고객 분석의 절차고객 정의: 기업의 서비스 관점에서 고객을 정의할 것고객 세분화: 제품 특성, 인구 통계 등 여러 기준에 기반한 고객 분류핵심 구매요인 파악: 고객이 우리 서비스에서 얻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가?고객 등급 분류 및 관리: 수익성 및 구매 빈도, 구매 시점 등을 고려하여 핵심 고객을 분류하고 관리할 것파레토 법칙전체 결과의 80%가 전체 원인의 20%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의미상위 20%를 잘 관리한다면 전체 매출의 80%를 잡는 효과를 나타낼수 있다는 것을 의미온라인 커머스 발생 이전에 굉장히 주요하게 사용되던 전통적인 VIP 마케팅 방법허나 온라인 커머스를 통해 나머지 80%에 대한 중요도도 부각되기 시작롱테일 법칙역파레토의 법칙으로도 불리며 파레토의 법칙에서 보는 상위 20%가 아닌 다른.. 2024. 7. 25. [TIL]본캠프 69일차 코호트 분석코호트란?→동일한 기간 동안 동일한 특성을 가진 사람들을 모아놓은 것세그먼트와 코호트의 차이?→세그먼트는 단순하게 '특성'을 바탕으로 묶인 집단, 코호트는 '기간'과 '특성'을 모두 고려하여 묶인 집단코호트 분석을 통해 차이를 확인할 수 있는 지표→전환율, 리텐션율, 목표 달성률, 수익률 등등리텐션시간이 지날수록 얼마나 많은 고객이 제품 또는 서비스로 돌아오는가서비스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정의할 수 있음(모든 액션에 대해서 설정 가능)→방문 후 재방문, 구매 후 재구매, 구매 후 로그인, 로그인 후 로그인 등등가장 많이 쓰는 리텐션은 재방문, 재구매다양한 리텐션 방식클래식 리텐션: N일차 기준 → 매일 들어와야하는 서비스 등에 사용 가능범위 리텐션: 일정 기간동안 한 번만 액션을 취해도 리텐션.. 2024. 7. 24. 이전 1 2 3 4 5 6 7 ··· 37 다음 728x90